우승은 했지만.. 골 때리는 그녀들 원더우먼 마시마, 구척장신 차서린 김진경 스피드 스킬 부족하니(?) '손' 너무 쓰더라 골…
페이지 정보
작성자 Meriel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9-14 08:42본문
월드 우먼 오브 스우파 라인업 출연진 스트릿 우먼 파이터 WSWF 크루 정보 2023년 방영된 스우파2 종영 이후 2년 만에 다시 돌아왔다. 이번에는 글로벌 대결이다. 시즌2에서도 잼 리퍼블릭, 츠바킬 등 해외 크루가 끼어있기는 하였지만, 참가자 대부분이 한국인이었다. 그렇지만 이번에는 한국, 일본, 미국, 호주, 뉴질랜드로 팀을 나눈 국가 대항전이다. 전세계에서 내로라하는 댄서들이 총출동한 만큼 수준 높은 최고의 무대가 펼쳐지지 않을까 싶다.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WSWF 정보를 살펴보자.연출 : 권영찬, 최정남 MC : 성한빈 심사위원 : 박진영, 알리야 자넬, 마이크 송 출연진 : 6팀(아래 참조) 방송시작 : 2025년 5월 27일 방송시간 : 화요일 밤 10시 몇부작 : 10부작(예정) 채널 : 우먼 Mnet ott : 티빙 스트리밍 티저 영상에 프랑스, 브라질, 캐나다, 남아공, 아르헨티나, 인도, 필리핀, 중국, 멕시코 등 총 15개국이 등장해. '이번에는 얼마나 스케일이 클까?'라는 기대감을 불러일으켰지만, 아쉽게도 실제 최종 참가팀은 단 6개뿐이었다. 더구나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에서만 오사카, 도쿄 두 탐이 참가했다. 일본에서 이 시리즈의 인기가 상당했던 모양이다. 이번에도 기존과 마찬가지로 여섯 개의 미션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린다. 강다니엘이 아니다 이번에도 당연히 강다니엘이 MC를 할 거라 생각했는데, 놀랍게도 바뀌었다. 제로베이스원의 리더 성한빈이 강다니엘의 자리를 꿰찼다. 참고로 두 사람의 공통점이 있다. 강다니엘은 '프로듀스 101 시즌2', 성한빈은 '보이즈플래닛' 출신이다. 스우파 방송사가 엠넷이기에 엠넷 오디션 출신을 쓰는 게 우먼 아닌가 싶다. 아주 똘똘한 외모이기에 진행도 잘 할 듯 싶다.심사위원도 바뀌었다. 매 시리즈마다 논란이 되었던 심사위원이다. 이번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WSWF는 우리나라가 아닌 글로벌 대결이라 그런지 이전 시즌들보다 더 유명하고 이룬 게 많은 사람을 데리고 왔다. JYP 수장 박진영이야 다들 잘 알 것이고, 사진 왼쪽은 마이크 송, 오른쪽은 알리야 자넬이다. 미국계 한국인인 마이크 송은 세계적인 댄스 크루 '킨자즈'의 리더이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댄서인 알리아 자넬은 비욘세, 크리스 브라운, 제니퍼 로페즈 등 유명 가수들의 백업 댄서로 활약했다. 자, 그럼 이제 월드 오브 스우파 라인업을 살펴보자.BUMSUP(범접) 모니카 1986. 06. 22. 허니제이 1987. 08. 26. 립제이 1988. 07. 30. 우먼 아이키 1989. 09. 07. 리헤이 1990. 04. 17. 효진초이 1992. 01. 20. 가비 1993. 11. 03. 노제 1996. 02. 12. 리정 1998. 08. 09. 이 프로그램 출연을 위해 지난해 결성했다. 보이는 그대로 전부 스우파 시즌1 출신이다. 원래는 각 팀 리더 8명으로 팀을 구성하려고 했지만, 모니카가 임신으로 참여가 어려워지자 립제이가 대체자로 영입됐다. 경연에는 직접 참여하지 못하지만 디렉트로 활약할 예정이라고 하니 모니카 팬들은 서운해하지 말자. 우리나라에 댄스 열풍을 일으킨 장본인들인데, 이번에는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궁금하다. OSAKA Ojo Gang(일본)이부키(리더) 1996. 10. 11. 루 1992. 02. 05. 하나 1994. 11. 01. 쿄카 1996. 04. 24. 레난 1997. 01. 15. 쥰나 1998. 우먼 11. 03. 미나미 1999. 04. 23. 우와 2004. 05. 10. 앞서 말했듯 일본은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WSWF에 두 팀이나 참가했다. 먼저 오사카 팀인 'OSAKA Ojo Gang'는 강렬한 퍼포먼스로 무대를 압도하는 실력파 크루다. 에스파의 '아마겟돈', '위플래시' 안무를 만든 '레난'도 원래 월드 오브 스우파 출연진으로 나올 예정이었지만, 교통사고로 인해 하차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있다. 또 하나의 놀라운 정보는 히라이 하나 같은 경우 걸그룹 '트와이스' 멤버 히라이 모모의 친언니다. RHTOKYO(일본) 리에하타(리더) 1990. 08. 09. 모나 1994. 07. 12. 레나 1999. 09. 18. 아스카 1999. 10. 15. 니나 네베스 2000. 03. 25. 리코 히라이 2001. 04. 02. 레이나 2001. 05. 우먼 16. 아코 2002. 08. 28. 원래 팀 이름은 'Rht'이지만, 오사카에서 온 'OSAKA Ojo Gang'과의 차별점을 두기 위해 'RHTOKYO'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 'REAL HOT TOKYO'라는 뜻이다. 참고로 레나가 2023년 스우파2에 '츠바킬' 멤버도 참여했고, 리더인 리에 하타는 메가크루 스페셜 저지로 나왔었다.MOTIV(미국) 말리(리더) 1999. 12. 02. 판타아예 1997. 12. 28. 벨라 2000. 10. 23. 케이디 2001. 08. 14. 니샤 2003. 02. 15. 로지스탁스 2003. 05. 08. 애비 2006. 10. 10.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WSWF 라인업에서 주목해야 할 또 다른 팀 모티브다. 묵직한 무브와 독특한 개성으로 미국을 대표하는 올드스쿨 힙합 크루다. 다른 팀들도 마찬가지지만 여기도 참 개성들이 강하다. 2016년 설립된 우먼 팀으로, 힙합이 주장르이나 크럼프, 팝핑, 하우스 등 모든 장르를 잘한다.AG SQUAD(호주) 카에아(리더) 1996. 06. 21. 카이라 1997. 08. 26. 다니카 1998. 01. 20. 알리샤 2000. 03. 24. 루시베이비 2000. 10. 04. 바네사 2003. 08. 04. 칼리스 2004. 04. 19. 알리야 2006. 12. 27. 한국 범접과 마찬가지로 월드 오브 스우파 출연을 위해 이번에 결성된 팀이다. 그렇기에 다들 실력들이 대단하다. 멤버 중 4명은 로열패밀리의 원년멤버 출신으로, 시즌2에 나왔던 커스틴, 링과 함께 수많은 퍼포먼스를 했었다. 특히 리더인 카에아는 커스틴과 더블 센터로 활약했다.ROYAL FAMILY(뉴질랜드) 티샤(리더) 2002. 06. 30. 함즈 2000. 07. 15. 자리 2002. 06. 14. 아일라 2003. 01. 08. 마이야 우먼 2004. 11. 12. 모아나 2005. 01. 12. 티아레 2005. 06. 07. 카일리 2006. 10. 16 전 세계 아티스트가 사랑하는 월드와이드 넘버원 크루 '로얄 패밀리'도 직접 나왔다. 2008년 패리스 고블이 설립한 뉴질랜드의 혼성 댄스 그룹으로, 칼 같은 군무와 압도적인 단체 퍼포먼스로 유명하다. 다만 아쉽게도 리더인 패리스 고블은 이번에 참가하지 않았다. 진짜 하나같이 유명한 팀들만 초대했다. 보는 재미는 확실하겠다. 이상으로 2년 만에 돌아온 스우파 세번째 시즌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WSWF 출연진 및 크루 라인업 정보에 대해 알아봤다. 참가팀 수가 생각보다 적어 아쉽기는 하지만 춤으로 한가락 하는 한국, 일본, 미국, 호주, 뉴질랜드는 다 참여했으니 퀄리티는 상당하겠다. 재미있게 시청하자.
우먼- 이전글【광고문의텔=PWMEEE】 구글토지노사이트광고 룸싸롱홍보 찌라시홍보 백링크업체 해외선물솔루션 달림폰판매 25.09.14
- 다음글바로벳★당장룰라.com★투게더벳롤솔랭배팅아쿠아던킨마추자 25.09.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